기술 정보
home
채널 소개
home

DBLink 통한 데이터 이관 시 사전 설정

문서 유형
기술 정보
분야
마이그레이션
키워드
dblink
SOURCE
target
nologging
적용 제품 버전
6F

개요

DB Link를 통해 데이터를 이관하는 경우 사전에 설정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 안내합니다.
참고
본 문서는 아래 조건에서 수행한 안내자료 입니다.
가상 머신 : Vitrual Box
OS : Centos7
Tibero : Tibero6
Source, Target : Tibero6 (동일서버내 존재)

방법

1. 테이블 로깅 설정 (nologging)

이관 대상 테이블을 nologging 모드로 설정하여 이관 속도를 향상할 수 있습니다.
alter table 유저명.테이블명 nologging;
SQL
복사

2. 인덱스 드랍

이관 대상 테이블에 생성되어 있는 인덱스를 드랍하여 이관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. 드랍하는 인덱스에 대한 생성문은 미리 확보합니다.
drop index 유저명.인덱스명;
SQL
복사

3. 테이블 병렬 및 append 처리

힌트를 통해 append 처리 및 이관 대상 테이블의 DOP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 단, 사전에 session 레벨에서 parallel dml을 활성화 시켜야하고, 이관 종료 후에는 commit을 수행합니다.
alter session enable parallel dml; insert /*+ append parallel(4) / into 유저명.테이블명 select /+ parallel(4) */ * from 유저명.테이블명@디비링크명; commit;
SQL
복사

4. 노아카이브 설정

Target DB의 아카이브 모드를 노아카이브 모드로 설정하여 이관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 해당 작업은 DB 재기동이 필요합니다.
alter database noarchivelog;
SQL
복사

5. Undo Retention 설정

데이터 이관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Undo Tablespace 재사용 시간을 단축하여 이관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 해당 설정값은 변경 후 새로 접속된 세션에 대해서만 적용되며 100이하의 값으로 설정할 것을 권장합니다. 기본값은 900초(15분) 입니다.
alter system set undo_retention=30;
SQL
복사

6. 제약조건 비활성 및 드랍

Target에 데이터를 입력 건 별 제약조건을 체크합니다. 이에 따라 Target의 제약조건을 비활성하거나 드랍하면 데이터 이관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 인덱스와 마찬가지로 드랍을 하는 경우에도 사전에 생성구문을 확보해야 합니다.
alter table 유저명.테이블명 drop constraint 제약조건명; alter table 유저명.테이블명 disable constraint 제약조건명;
SQL
복사